
문제는 위와 같으며 위 문제의 경우 데이터 개수가 최대 5,000,000 개이므로 NlogN 정렬 알고리즘을 통해 겨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. 파이썬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. from sys import stdin n, k = map(int, stdin.readline().split()) nums = list(map(int, stdin.readline().split())) nums.sort() print(nums[k - 1]) 병합 정렬을 직접 구현하여 문제를 푸는 경우는 제출할 때 pypy3 로 하면 좀 더 빠르게 계산되기 때문에 시간초과 에러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. from sys import stdin # 병합 정렬 이용 def merge_sort(array): if len(array) == ..

문제는 위와 같으면 주어지는 수의 개수가 1,000,000 개까지 이므로 파이썬이 일반적으로 1초에 20,000,000 번의 연산을 수행한다고 할 때 NlogN 의 시간 복잡도를 가지는 정렬 알고리즘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. NlogN 의 시간 복잡도를 가지는 정렬 알고리즘은 병합 정렬, 퀵 정렬, 힙 정렬 등이 있으며 기본적으로 파이썬에 내장된 sort() 메소드 또한 NlogN 의 시간 복잡도를 가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. 먼저, 파이썬에 내장된 함수를 사용하는 코드를 살펴보겠습니다. from sys import stdin n = int(stdin.readline()) nums = [int(stdin.readline()) for _ in range(n)] nums.sort() print("\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에라토스테네스의 체
- ionic
- BFS
- array
- Dynamic Programming
- DFS
- programmers
- permutation
- Combination
- string
- 프로그래머스
- sort
- java
- CodePipeline
- CodeCommit
- SWIFT
- map
- 순열
- 수학
- search
- 조합
- AWS
- Algorithm
- 소수
- ECR
- EC2
- CodeDeploy
- cloudfront
- Baekjoon
- spring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